심근경색
심장 근육으로 기능 산소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심장근육으로 피가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막히거나 경련이 유발되어 산소 공급이 중단되며, 산소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심장박동이 멈출 수 있습니다.
가슴의 통증 혹은 불편함이 있을 때 심장의 병변에 의한 것인지, 소화불량 등의 소화기 질환에 의한 것인지, 천식 등의 호흡기 증상에서 유발되는 것인지 구분하기 힘듭니다.
관상동맥질환은 관상동맥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면서 심장으로 혈액, 산소 공급이 저하되면서 발생합니다. 혈관이 좁아져 혈액공급이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는 상태를 '협심증', 혈관이 완전히 막힌 상태를 '심근경색증'이라 합니다.
심근경색증은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초기 사망률이 30%에 달하며, 병원에 도착해 적극적인 치료를 해도 병원 내 사망률이 5~10%에 이를 정도로 위험한 질환입니다.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의 (순환기내과) 의료진 설명을 참고하였습니다.

2022년 환자수는 13.2만 명(남자 10.4만 명, 여자 2.8만 명)입니다. 2018~2022년 연평균 환자 증가율은 4.6%입니다.
자가진단
□가슴 한가운데가 뻐근하고 아프고 불편하다.
□목, 왼쪽 어깨, 팔로 뻗치는 통증이 있다.
□심장이 불규칙하게 뛴다.
□이유 없이 호흡곤란이 찾아온다.
□운동 중 가슴통증이 느껴진다
□특히 겨울철 이런 증상을 자주 느낀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이 있다.

심근경색증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하는 1년 치명률은 2021년 16.0%로 나타났으며, 남자 13.1%, 여자 24.1%로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습니다. 또한 65세 이상에서 심근경색증 발생 후 26.7%가 1년 이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근경색증 발생률은 남자가 높고 치명률은 여자가 높은 경향을 보이는데, 남자는 장년층 환자 비중이 높았지만 여자는 고령층 환자 비중이 높아 치명률 격차의 주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증상
가슴통증 증상이 전형적으로 나타나지만 때로는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주로 가슴 한가운데에 짓누르거나 · 조이거나 ·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통증은 30분 이상 지속되며, 휴식을 취하거나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투여해도 호전되지 않습니다.
가슴의 통증은 목과 턱, 어깨, 왼쪽 팔로 뻗치며, 안색이 창백해지고 식은땀을 흘리기도 합니다. 병이 많이 진행되면 심장 기능을 저하시켜 호흡곤란이 오고, 심한 부정맥을 유발하여 심장이 갑자기 정지하기도 합니다.
응급처치
①가능하면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②혀 밑에 넣거나 뿌리는 니트로글리세린이 있으면 즉시 사용합니다.
③119를 불러서 병원 응급실로 이동합니다.
④효과가 없는 단방약을 사용하거나 약국, 한의원, 개인병원에서 시간을 낭비하면 안 됩니다.
⑤6시간 내에 병원에 도착해야 심장의 괴사를 줄일 수 있고, 12시간 내에 병원에 도착해야 심근을 성공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치료
혈액공급이 끊긴 상태가 지속되면 심장 근육이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어, 가능한 한 빨리 막힌 혈관을 다시 개통시켜 주는 것이 심근경색의 크기를 줄이고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스텐트 삽입술, 약물 스텐트, 관상동맥우회술이 있습니다.
①스텐트 삽입술 : 대퇴부나 손목 부위를 통해 풍선이 부착된 도관을 좁아진 관상동맥 부위에 삽입한 후 풍선을 팽창시킴으로써 좁아진 혈관을 늘려주고, 확장된 혈관이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스텐트를 삽입하여 즉각적인 혈관 수축을 막아줍니다.
②약물 스텐트 : 스텐트에 혈관 내막의 세포들이 필요 이상으로 자라지 않도록 개발된 약물을 바른 것으로, 스텐트 삽입의 문제점인 재발률을 20~30%에서 10% 미만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
③관상동맥우회술 : 3개 이상의 혈관이 좁아지거나, 굵은 관상동맥 가지에 심각한 협착이 발견되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관상동맥이 좁아졌을 때 다른 부위의 동맥 또는 정맥을 이용해 막힌 부위를 우회하는 새로운 혈관을 만들어 주는 수술입니다.
예방
①흡연은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금연합니다.
②식사는 저염식, 덜 기름진 음식 위주로 바꿉니다.
③규칙적인 운동과 적당량의 섭취를 통해 복부 비만을 줄입니다.
④스트레스 해소를 술로 하기보다 걷기와 명상과 같은 방법으로 해소합니다.
⑤추운 날씨에 외출할 때는 급격한 체온 저하를 취해 보온에 신경 씁니다.
⑤가족력 및 고위험군에 해당한다면 정기적으로 심장혈관 건강을 체크합니다.
오해와 진실
●심혈관질환은 나이 든 사람에 해당한다.
서양식 식습관과 운동 부족으로 심혈관 질환의 발병 연령대는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젊은 시절 쌓인 콜레스테롤로 인해 중장년기에 심혈관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혈관질환은 주로 남성 질환이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과음, 흡연 등 위험인자의 위험성이 낮지만, 폐경기 전후 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에 의한 심혈관 보호 효과가 감소하면서 혈관질환이 빠르게 진행됩니다.
●심혈관질환에 커피는 위험하다.
카페인 음료를 마시면 일시적으로 심박수와 혈압이 상승하지만, 카페인은 심혈관질환과 연관성은 없습니다.
●마른 사람은 심혈관질환과 거리가 멀다.
체중과 심혈관질환은 무관합니다. 하지만 날씬해도 복부비만이면 심혈관질환에 취약해져 위험성이 높습니다. 내장 지방이 축적돼 간을 통해 혈관으로 나쁜 콜레스테롤이 이동하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집니다.
'질병&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론병 ; 초기에는 과민성장증후군과 헤깔려요 (3) | 2024.10.29 |
---|---|
뇌졸증 ; 빠르게 병원으로 이송하세요 (5) | 2024.10.28 |
통풍 ; 더이상 노인성 질환이 아니에요 (3) | 2024.10.25 |
천식 ; 반려동물도 원인이 될 수 있어요 (5) | 2024.10.24 |
공황장애 ; 증상 발생시 애써 이겨내지 마세요 (2)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