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인건강

치매 백과사전

by 건강 파수꾼 2024. 10. 2.
728x90

치매 치료 

현재 치매 치료는 근본 원인을 해결하기 보다는 증상이 나빠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신약개발의 경우 약물의 안정성과 효과성 등을 확인하여 상용화까지 여러 과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치매전문병원이 아닌 일부 병원에서 치매예방약을 처방해주기도 하며, 약국에서 뇌 영양제를 구입하여 복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과학적으로 효과가 입증된 치매주사나 예방약이 아닐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치매에 대한 진실

①치매는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닙니다. 치매와 노화에 따른 기억력 저하는 서로 다르며, 치매는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닙니다. 치매가 있을 경우 더 뚜렷하고 분명한 기억력 저하가 나타나며, 기분 변화나 판단력 저하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②치매는 뇌의 질환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치매는 여러 증상의 묶음이며, 이 묶음에는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가지 인지기능의 장애가 포함됩니다. 이 증상들은 뇌의 질환으로 인하여 발생하는데, 가장 흔한 질환이 알츠하이머병입니다.

 

③치매는 기억력 외에 다른 기능에도 영향을 줍니다. 치매의 가장 흔한 증상은 기억력 저하입니다. 기억력 외에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도 저하되고, 기분·성격·행동에도 영향을 줍니다.

 

④치매가 있어도 잘 지낼 수 있습니다. 치매가 있어도 만족스러운 직장생활과 사회생활을 유지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치매가 있으면 이전보다 생활이 어려워지나, 적절한 도움을 받는다면 많은 것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⑤치매진단은 첨단기계를 사용하는 검사과정보다 문진과정이 더 중요합니다. 치매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질환 여부, 신체검사 · 신경학적 검사 · 정신상태 검사 등으로 추정이 가능합니다. 이후 확진을 위해 검사실 검사, 신경인지기능 검사, 뇌영상 검사 등을 하게 됩니다.

 

대한민국 치매 현황

65세 이상 노인 치매 환자 수 추이 _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202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 환자수는 92.3만명으로 전체 노인 인구 중 10%에 해당합니다. 

2022년 기준 연령별 인구대비 추정치매환자 비율 _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치매로 추정되는 노인 환자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80~84세는 20%로 10명 중 2명이, 85세 이상은 38%로 10명 중 4명이 치매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65세 이상 노인 추정치매환자수 예상 _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추정치매환자 수는 2040년에는 226만명, 2050년에는 315만 명까지 증가할 전망입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환자 비율은 2020년 10%에서 2050년 17%까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치매 의심증상 10가지

①직업이나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정도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 상실이 있다.

②익숙한 일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생긴다.

③언어사용이 어려워진다.

④시간과 장소를 혼동한다.

⑤판단력이 감소하거나 그릇된 판단을 자주 한다.

⑥추상적인 사고능력에 문제가 생긴다.

⑦물건을 잘못 간수한다.

⑧기분이나 행동의 변화가 온다.

⑨성격에 변화가 온다.

⑩자발성이 감소한다.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꾸준한 약물치료로 치매증상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저소득 치매어르신의 치매 치료비를 실비로 지원해 드리는 제도입니다. 기준은 만 60세 이상 + 치매진단 + 치매치료제를 복용 중 + 소득이 중위소득 120%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 치매 치료제 약값과 약 처방 당일 진료비의 본인부담금에 대해 월 3만원, 연간 36만원 한도 내에서 지급이 됩니다.

 

치매치료비 신청하려면 주소지관할 치매안심센터에 치매환자로 등록을 해야 합니다. 그 후 구비서류(지원신청서 1부, 대상자 본인 또는 보호자 통장사본 1부)와 함께 주민등록 관할 치매안심센터에 방문신청하면 됩니다. 

 

치매환자 장애인 등록 가능여부

치매환자는 장애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만 혈관치매 환자의 경우 뇌졸증과 신체장애의 연관성이 명확하다면 신체 장애인으로 등록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