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예방

옴 ; 전염성 강한 피부병, 2025년에도 발생하고 있어요

by 가족 지키미 2025. 4. 17.
반응형

옴 진드기(Scabies mite)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피부 질환입니다.

 

옴 이미지 (출처 : 세종시 보건소)

 

옴 진드기 생활사

: 알, 유충, 약충, 성충 단계를 거칩니다.

 

(알) 암컷 진드기가 피부 각질층 내 굴을 만들어 매일 4~5개씩 산란하며 4~5일 안에 부화

 

(유충, 약충) 부화한 후 유충은 피부 표면으로 이동하여 손상되지 않은 각질층에 구멍을 뚫고 굴을 만듦

 

(성충) 10~17일 후 성체 진드기가 되어 피부 표면에서 교미. 교미 후 암컷은 산란을 위해 바로 각질층에 굴을 파고 하루 2~3mm씩 이동하면서 산란. 4~6주 기생하면서 평균 35~50개의 알을 낳음. 수컷은 교미 후 피부 표면에서 2일 이내 죽음.

 

옴 진드기 (출처 : 질병관리청)

 

 

원인

옴 감염은 옴진드기라는 진드기가 원인입니다. 암컷 좀진드기는 피부를 물고 피부 최상단층을 관통하여 침입한 뒤 그 속에 알을 낳습니다. 며칠 후 어린 진드기(유충)가 부화합니다. 감염 시 극심한 가려움증이 발생하는데, 이는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감염은 신체 접촉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쉽게 전염되며 가족 전체로 전염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인체 진드기는 매개물, 즉 수건, 침구, 의복 등 물리적인 물체에서도 서식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사람으로 감염될 수 있습니다.

 

진드기는 일단 인체를 떠나면 그리 오래 생존하지 못합니다. 동물 진드기는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고 가려움증을 유발하지만 아주 오래 생존하거나 치료를 요하지는 않습니다. 

 

옴 감염을 일으키는 진드기는 보통 일반적인 빨래(온수를 이용해 기계 세탁한 후 고온 건조기나 다림질로 건조)나 드라이클리닝으로 제거됩니다. 감염의 주된 위험 요인은 혼잡한 환경(학교, 수용 시설, 군대, 일부 가정)입니다. 옴 감염은 위생 불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2025년 4월 옴 관련 기사

 

증상

밤에 심해지는 가려움증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가려움증은 옴 진드기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4~6주 간의 잠복기를 거쳐 나타납니다.  재감염의 경우에는 즉시 나타나기도 하고 처음부터 많은 수의 진드기에 감염되면 잠복기가 1주 내로 짧아질 수 있습니다. 

 

옴 진드기는 주로 야간에 사람 피부의 가장 겉 부분인 각질층 내에 굴을 만들고 이때 진드기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여 가려움증이 나타납니다. 굴이 시작된 부분에는 작은 인설(살비듬)이 있으며, 옴 진드기가 있는 쪽에는 미세한 융기가 발견되고 굴 하부에는 작은 수포(물집) 또는 농포(고름)가 형성되기도 합니다. 

 

유방, 음경 등 인체 어느 곳에든 생길 수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얼굴에는 돌기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돌기가 맨 처음 생기는 부위는 손가락 사이, 손목, 팔꿈치 안쪽, 겨드랑이, 허리 둘레, 엉덩이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돌기는 차츰 눈에 잘 띄지 않는데, 긁어서 생긴 염증으로 형태가 불분명해지기 때문입니다. 

 

영아는 손바닥, 발바닥, 얼굴, 두피가 감염될 수 있으며 특히 귀 뒤가 영향을 받습니다. 노인들은 옴에 감염되면 극심한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지만, 피부 증상은 매우 가볍게 나타나 진단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치료 & 예방

1% 감마벤젠 헥사클로라이드 연고 또는 로션을 자기 전에 얼굴을 제외한 전신에 바르고 6시간 후에 씻어 내며 1주일 후 한번 더 반복적으로 치료합니다.

 

10% 크로타미톤 연고를 2일간 연속해서 밤에 바른 후 마지막 바른 시점에서 24시간 후에 닦아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퍼메트린 50mg/g 연고를 머리 부분을 제외한 몸 전체에 마사지하듯이 펴 바르고 12~14시간 후에 물로 씻어냅니다.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은 치료 24시간 이내에 소양증이 경감됩니다. 소양증이 심한 경우 국소적으로 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할 수 있고,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이차적으로 세균 감염이 발생하면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옴 벌레나 알이 피부, 잠옷, 침구 등에 붙어 있기 때문에, 감염자가 2일 이내에 사용한 침구, 옷 등은 뜨거운 물에 세탁하거나, 햇볕에 말리거나, 살충제를 뿌려서 알까지 모두 박멸해야 합니다. 성 파트너는 물론이고 가족도 함께 치료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옴이 치료될 때까지 성관계는 물론 단순한 접촉도 삼가야 합니다.

 

 

오해와 진실

●옴은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옴은 감염된 사람과 직접 접촉이나 옷 또는 침구, 수건 등과 접촉할 때도 옮습니다. 같은 공간에서 주거생활을 하며 밀접하고 친밀한 접촉관계에서 감염이 쉽습니다.

 

●옴 가려움은 밤에 더 심해진다

붉은 발진이 생기고, 보통 극심한 가려움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밤에 더 심해집니다. 발진은 손가락 사이, 손목과 팔꿈치 안쪽, 가슴, 남성의 성기, 벨트 라인, 허리와 엉덩이 부분에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유아에게는 머리, 목, 손바닥, 발바닥 발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옴 감염 시 항생제 치료는 필요 없다

긁어서 피부에 손상이 생기면 이차 세균 감염이 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이차 감염이 된 경우 항생제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옴은 애완동물로부터도 감염된다

동물은 동물의 특이적인 옴진드기가 있습니다. 드물게 동물의 감염이 보고되었지만, 일반적인 현상은 아니고 사람은 사람 옴진드기에 주로 감염됩니다.

 

●옴에 걸린 사람과 가벼운 접촉도 감염된다

악수, 일시적인 포옹은 일반적으로 옴을 전파하지 않습니다.

 

●옴진드기는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다

옴진드기는 1~2개월 동안 살 수 있습니다. 치료를 받으면 보통 47~72시간 이상 생존하지 못합니다.

 

●공공 수영장에서 옮을 수 있다

수영장에서 감염은 거의 없으나, 샤워시설에서 로션이나 수건의 공동사용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옴이 있는 환자가 사용한 방은 소독을 해야 한다

딱지옴 환자가 사용한 방은 진공청소기 등으로 철저히 청소하고 살충 소독합니다. 또한 청소한 진공청소기는 살충제로 닦아내고 사용한 솜 등은 감염성 폐기물로 간주하여 처리해야 합니다.

반응형